은자를 찾아 _ 정사초
구름에 가린 석굴 은자의 집,
시냇물은 문을 둘러 흘러내리네.
온 산 덮은 낙엽에 길이 없는데
나무 위 배고픈 원숭이 이끼 벗기네.
訪隱者 방은자 _ 鄭思肖
石竇雲封隱者家 석두운봉 은자가
一溪流水遶門斜 일계류수 요문사
滿山落葉無行路 만산낙엽 무행로
樹上寒猿剝蘚花 수상한원 박선화
⊙ 직역
구름으로 봉해진(雲封, 운봉) 돌 구멍(石竇, 석두, 돌움=동혈洞穴) 은자의 집(隱者家, 은자가)
한 시내(一溪, 일계) 흐르는 물은(流水, 유수) 문을 둘러(遶門, 요문) 비끼네(斜, 사).
온 산의 낙엽에(滿山落葉, 만산낙엽) 지나다니는 길이 없어졌는데(無行路, 무행로)
나무 위(樹上, 수상) 가난한 원숭이(寒猿, 한원) 이끼꽃(蘚花, 선화) 벗기네(剝, 박).
⊙ 형식(칠언절구 측기식)
기 : (측)측평평 (측)측【평】
승 : (평)평(측)측 측평【평】
전 : (평)평(측)측 평평측
결 : (측)측평평 (측)측【평】
※ ( )는 평성 또는 측성(상·거·입성)을 반드시 지키지 않아도 되는 표시. 본래 평성인데 측성이 들어가도 되고, 측성인데 평성이어도 된다.
※ 【 】는 운자. 칠언절구에서는 1·2·4구 끝 자가 운이다. 오언절구에서는 2·4구 끝 자가 운.
※ <방은자>의 기구는 石(석, 입성-> 측성) 竇(두, 거성-> 측성) 雲(운, 평성) 封(봉, 평성) 隱(은, 상성-> 측성) 者(자, 상성-> 측성) 家(평성)으로 되어 있다. ‘측측평평측측평’으로, 측기식(1구의 두 번째 글자가 측성)이며, 운은 家(가), 斜(사), 花(화)이다.
구름에 가린 석굴 은자의 집,
시냇물은 문을 둘러 흘러내리네.
온 산 덮은 낙엽에 길이 없는데
나무 위 배고픈 원숭이 이끼 벗기네.
訪隱者 방은자 _ 鄭思肖
石竇雲封隱者家 석두운봉 은자가
一溪流水遶門斜 일계류수 요문사
滿山落葉無行路 만산낙엽 무행로
樹上寒猿剝蘚花 수상한원 박선화
⊙ 직역
구름으로 봉해진(雲封, 운봉) 돌 구멍(石竇, 석두, 돌움=동혈洞穴) 은자의 집(隱者家, 은자가)
한 시내(一溪, 일계) 흐르는 물은(流水, 유수) 문을 둘러(遶門, 요문) 비끼네(斜, 사).
온 산의 낙엽에(滿山落葉, 만산낙엽) 지나다니는 길이 없어졌는데(無行路, 무행로)
나무 위(樹上, 수상) 가난한 원숭이(寒猿, 한원) 이끼꽃(蘚花, 선화) 벗기네(剝, 박).
⊙ 형식(칠언절구 측기식)
기 : (측)측평평 (측)측【평】
승 : (평)평(측)측 측평【평】
전 : (평)평(측)측 평평측
결 : (측)측평평 (측)측【평】
※ ( )는 평성 또는 측성(상·거·입성)을 반드시 지키지 않아도 되는 표시. 본래 평성인데 측성이 들어가도 되고, 측성인데 평성이어도 된다.
※ 【 】는 운자. 칠언절구에서는 1·2·4구 끝 자가 운이다. 오언절구에서는 2·4구 끝 자가 운.
※ <방은자>의 기구는 石(석, 입성-> 측성) 竇(두, 거성-> 측성) 雲(운, 평성) 封(봉, 평성) 隱(은, 상성-> 측성) 者(자, 상성-> 측성) 家(평성)으로 되어 있다. ‘측측평평측측평’으로, 측기식(1구의 두 번째 글자가 측성)이며, 운은 家(가), 斜(사), 花(화)이다.
'번역' 카테고리의 다른 글
訪隱者不遇成二絕, 방은자불우성이절 (0) | 2022.03.22 |
---|---|
寄隱者, 기은자, 은자에 부쳐 (0) | 2022.03.20 |
창기 출신 한무제 애첩 이부인 (0) | 2022.02.13 |
진술고 답시 이수 (2) 答陳述古二首 其二 (0) | 2021.03.21 |
춘한 春寒 (0) | 2021.03.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