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愚王劓姼 #우왕의치 : 어리석은 왕이 미인의 코를 베다
형왕(荊王)에게는 정수(鄭袖)라는 애첩이 있었다. 형왕이 새로 미녀를 얻자 정수가 그녀에게 이렇게 말하며 가르쳤다. “왕은 여자가 입을 가리는 것을 매우 좋아하니 만약 가까이 오면 반드시 입을 가리세요.”
미녀가 왕을 알현했을 때, 왕이 다가오자 미녀는 입을 가렸고, 왕이 그 까닭을 묻자 정수가 대답했다. “이 여자는 일전에 왕에게서 나는 냄새가 싫다고 했습니다.”
급기야 왕, 정수, 미녀 세 사람이 자리를 같이했는데, 그전에 정수는 마부에게 “왕이 마침 무슨 말을 하면 재빨리 그대로 따르도록 하라.”고 지시해놓았다. 왕이 미녀에게 앞으로 오라고 하니, 미녀는 왕 가까이 와서 자주 입을 가렸다. 그러자 왕이 버럭 화를 내며 말했다. “저년을 의형(劓刑)에 처하라!”
마부는 곧장 칼을 휘둘러 미인의 코를 벴다. ―「한비자」 내저설하(內儲說下)
※ 사람들 가운데 정수라는 여자를 두둔하는 사람이 분명 있다. 그 나름의 논리도 있다. 그러나 아무리 험한 세상을 살아간다 해도 가까이하기는 힘든 인종이다. 이 일화의 미녀가 되어서도 안 될 것이다.
[원문]
荊王所愛妾有鄭袖者。 荊王新得美女、 鄭袖因教之曰 「王甚喜人之掩口也、為近王、必掩口。」 美女入見、 近王、 因掩口、 王問其故、 鄭袖曰 「此固言惡王之臭。」 及王與鄭袖美女三人坐、 袖因先誡御者曰 「王適有言、 必亟聽從。」 王言美女前、 近王、 甚數掩口、 王悖然怒曰 「劓之。」 御因揄刀而劓美人。
[풀이]
荊王所愛妾有鄭袖者。 형왕소애첩유정수자。 *所: ~한 일이 있다.
형왕은 정수라고 하는 자가 애첩으로 있은 일이 있었다. -> 형왕에게는 정수라는 애첩이 있었다.
荊王新得美女、 鄭袖因教之曰 「王甚喜人之掩口也、為近王、必掩口。」 형왕신득미녀、 정수인교지왈 「왕심희인지엄구야、 위근왕、 필엄구。」 *新得: 새로이 얻다. 因~: ~을 통해 *之: 그 *人: 사람, 딴 사람을 뜻하지만 이 자체가 남자 또는 여자를 가리키기도 한다. *~之: ~이(가) *掩: 가리다. *為~: 연사(連詞, 접속사)로서 만약 ~면.
형왕이 새로 미녀를 얻자, 정수가 그녀에게 가르침을 통해 말하기를, “왕은 여자가 입을 가리는 것을 매우 좋아하니, 만약 왕이 가까이 오면 반드시 입을 가리세요.” -> 형왕이 새로 미녀를 얻자 정수가 그녀에게 이렇게 말하며 가르쳤다. “왕은 여자가 입을 가리는 것을 매우 좋아하니 만약 가까이 오면 반드시 입을 가리세요.”
美女入見、 近王、 因掩口、 王問其故、 鄭袖曰 「此固言惡王之臭。」 미녀입현、 근왕、 인엄구、 왕문기고、 정수왈 「차고언오왕지취。」 *入見: 들어가 뵘(알현함). *因: 이에, 곧. *固: 오래전, 본래.
미녀는 들어가 뵈어, 왕이 다가오니, 이에 입을 가렸고, 왕이 그 까닭을 묻자, 정수가 말하기를, “이는 왕의 냄새가 싫다고 오래전에 말했습니다.” -> 미녀가 왕을 알현했을 때, 왕이 다가오자 미녀는 입을 가렸고, 왕이 그 까닭을 묻자 정수가 대답했다. “이 여자는 일전에 왕에게서 나는 냄새가 싫다고 했습니다.”
及王與鄭袖美女三人坐、 袖因先誡御者曰 「王適有言、 必亟聽從。」 급왕여정수미녀삼인좌、 수인선계어자왈 「왕적유언、 필극청종。」 *及: 급기야 *與~ : ~와 함께 *因~: ~을 통해 *誡: 분부하다. *御者: 마부 *適: 마침 *亟: 빠르게 *聽從: 이르는 대로 들어 따름.
급기야 왕이 정수, 미녀와 함께 세 사람이 앉았는데, 정수가 먼저 분부를 통해 마부에게 말했다. “왕이 마침 말이 있으면, 반드시 빠르게 그 말을 따르라.” -> 급기야 왕, 정수, 미녀 세 사람이 자리를 같이했는데, 그전에 정수는 마부에게 “왕이 마침 무슨 말을 하면 재빨리 그대로 따르도록 하라.”고 지시해놓았다.
王言美女前、 近王、 甚數掩口、 王悖然怒曰 「劓之。」 왕언미녀전、 근왕、 심삭엄구、 왕패연노왈 「의지。」 *甚數: 심하게 자주 (數其, 즉 ‘자주 그’를 잘못 적은 것이라고도 한다.) *悖: 우쩍 일어나다. *悖然: 버럭, 발끈. *劓: 코를 베다, 의형(劓刑, 코를 베는 형벌).
왕이 미녀를 앞으로 오라고 말하니, 왕 가까이 와서, 심하게 자주 입을 가리자, 왕은 버럭 화를 내며 말했다. “그를 의형에 처하라.” -> 왕이 미녀에게 앞으로 오라고 하니, 미녀가 왕 가까이 와서 자주 입을 가렸다. 그러자 왕이 버럭 화를 내며 말했다. “저년을 의형(劓刑)에 처하라!”
御因揄刀而劓美人。 어인유도이의미인 *揄: 잡아당기다(引), 휘두르다(揚舉, 양거). *因: 이에, 곧. *而: 순접의 연사(접속사) *劓: 코를 베다.
마부는 곧장 칼을 휘둘러 미인의 코를 벴다.
'번역' 카테고리의 다른 글
새옹지마(塞翁之馬) (0) | 2020.02.01 |
---|---|
청출어람(청취어람) 출전은 순자의 권학편 (0) | 2020.01.23 |
유두류록 (0) | 2019.12.09 |
등고 (0) | 2019.11.16 |
여선인거 (0) | 2019.11.13 |